맞춤형 귀농귀촌인 양성 필요하다

우리나눔신문 승인 2021.05.31 13:32 | 최종 수정 2021.06.02 16:09 의견 0

 

신현석 협성대학교 교수.
신현석 협성대학교 교수.

도시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꿈꿔봤을 ‘전원생활’ 그곳에서 귀농·귀촌인으로서의 삶은 과연 어떠할까? 지금으로부터 약 10년 전,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와 정부의 귀농·귀촌 추진기반 조성과 맞물려 농촌으로 향하는 인구가 급진적으로 늘기 시작했다.

현재 귀농·귀촌은 하나의 사회적 트렌드와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은퇴 후 전원생활이 목적인 귀촌이 주를 이루던 과거에 비해 창농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귀농 인구가 늘었고, 중장년층뿐 아니라 청년층의 비율도 매우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면에 농촌 적응에 실패해 다시 도시로 되돌아오는 역귀농의 비율 또한 10명 중 1명꼴로 나타나고 있다는 실정이다.

또한, 정부에서 귀농·귀촌 분야에 해마다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는 있지만, 자금 대부분이 일반 청·장년층에 편중되어있고, 귀농·귀촌의 성공사례 역시 아직은 일부에게만 국한되어있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그동안의 정부 정책도 양적 확대에만 치우쳐 귀농·귀촌인의 체계적인 정착을 위한 지원은 미흡한 편이었으며 귀농인들과 현지 원주민 간 융화에도 어려움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하는 과제들이 산재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부분을 해소하고 효율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변화되어 가는 농촌 분위기에 따른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프로그램 개발과 효율적 운영을 위한 플랫폼 구축 등 정책제안을 하고 싶다.

그 첫 번째 시도로 다양한 부류의 사회적 취약계층이 존재하지만 그중에서도 현대사회의 새로운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정의되는 경력단절여성과 여전히 사회적 약자에 속해 있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귀농·귀촌인 양성 프로그램’ 적극 제안한다.

이외에도 마을 주민 간 화합을 위한 동아리 운영, 귀농·귀촌 협의회 활성화와 선배 귀농인과의 1:1 멘토링 등을 통해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하고, 특히 도시 변두리 및 농어산촌에 위치한 장애인 거주시설을 ‘귀농·귀촌 인큐베이팅 훈련센터’로 변화시켜 복지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제안과 실현 가능한 개입 방안을 수립해 나아갈 것을 제안한다.

하지만 아직은 농어산촌 지역주민과 귀농·귀촌 전문가들이 이러한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이해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므로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 ‘인권교육’ 등을 통해 양성평등·공동체 의식 함양·상호 이해와 소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우선 되어야 하겠다.

이와 더불어 함께 모색중인 ‘농촌 내 빈집 유휴지 실태조사’ 사업의 결과물을 토대로 이를 접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제안한다.

물론 초창기에는 이러한 개인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쉽지 않겠지만, 지속해서 관심을 갖고 하나씩 해결해 간다면, 머지않아 사회적 취약계층이 자립을 실현해 나갈 수 있는 터전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이러한 계기들이 모여 농촌 지역을 보다 활기차게 만들고, 더 나아가서는 계층을 불문한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다 함께 살아가는 복지공동체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한다.

저작권자 ⓒ THE NANUM TIME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